경계선 지능인의 현황과 과제
학업과 자립에 어려움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수준 맞춤 교육과 상담 필요
지적장애와 정상 지능 사이에는 틈이 존재한다. 지능지수가 70이 되지 않으면 지적장애로, 지능지수가 80을 넘으면 정상 지능으로 분류되지만 그 사이 사람들은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다. 이들은 경계선 지능을 가진 ‘느린 학습자’이자 ‘경계인’이다.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은 낮은 지능으로 많은 문제에 직면하지만 장애인으로는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장애 관련 법안에서 보장하는 지원을 받기는 어렵다. 최진오(창원대 특수교육학과) 교수는 “복지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경계선 지능인들만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적응 어려워 주눅 드는 아이들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은 낮은 지적 능력으로 일상생활 곳곳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그중에서도 학업의 어려움이 크다.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어느 정도 학교 수업을 따라가지만 고학년부터는 일반 학생들을 따라잡기 쉽지 않다. 대인관계 역시 문제가 된다. 뛰어노는 시기를 지나 친구들과의 대화가 중요해지는 고학년이 되면 따돌림을 당하는 경우도 자주 생긴다. 상황과 대화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고 엉뚱한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느린학습자시민회 송연숙 이사는 “시민회에 오는 아이들 대부분이 학교에서 친구 사귀기를 어려워한다”고 말했다. 이런 또래 관계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정서적인 측면에 악영향을 준다. 최진오 교수는 “실제로 만난 경계 청소년들 대부분이 정서적으로 불안정했다”며 “그 결과로 우울증, 불안장애, 분노조절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경계 청소년들은 자존감이 저하되기 쉬운 상황을 자주 마주한다. 이창화(을지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겉으로는 별문제 없어 보이기 때문에 성적이 떨어지면 부모나 주변으로부터 노력이 부족했다는 등의 비난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경계선 지능 아이들은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친구 관계에서 문제가 생기면 가장 먼저 자신을 탓한다. 중학교 2학년 경계선 지능 자녀를 둔 송연숙 이사는 “남편조차 아이의 문제를 이해하지 못했다”며 “점점 주눅 들어가는 모습이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자립 위한 도움이 가장 필요해
현재 우리나라의 경계선 지능 관련 법안은 ‘느린학습자 지원법’이 유일하다. 하지만 이마저도 한계가 뚜렷하다. 가장 큰 문제는 경계인들만을 위한 법이 아니라는 점이다. 최진오 교수는 “법안 마련 이후에도 학교에서는 경계선 지능 아이들을 학습부진아로 구분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게 전부”라고 지적했다.
학습부진아로 구분되는 경우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도 발생한다. 송연숙 이사는 “특수교육을 신청하고 나니 아주 작은 문제만 있어도 도움반으로 가라는 권유를 받는다”며 “아이의 의사도 묻지 않고 반을 옮기는 일방적인 결정이 내려진다”고 말했다.
학교를 벗어나면 문제는 더욱 심화된다. 학습 성과를 내기 힘들고 적응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지는 경계 청년들은 취업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들다. 의무고용제도가 있는 장애인들과 달리 법적으로 보장받지 못해 스스로 자립에 성공해야 하는 상황이다. 자립해야 하는 성인기에 홀로 서지 못하면 부모의 그늘 아래 계속 머물거나 사회 취약계층이 된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자립 지원이다. 실제로 서울시가 느린학습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필요한 지원에 대해 조사한 결과 사회성 기술과 직업교육 및 취업 알선이 32.7%, 29.3%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현재 국가 차원의 경계선 지능 자립 지원제도는 보호대상 아동에 국한되어 있고 내용도 진로 탐색, 성교육 등 지나치게 기초적이다. 송연숙 이사는 “경계인만을 위한 방어막이 없다 보니 꼼수를 써서라도 장애인 등록을 해서 장애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고 전했다.
모든 부담은 결국 부모의 몫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의 부모, 대안학교 교사, 복지센터 종사자들은 한데 모여 ‘느린학습자시민회’를 결성했다. 성북구에 위치한 부모들의 커뮤니티에서 시작한 ‘느린학습자시민회’는 경계 청소년들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공론장도 개최한다. 주된 논의는 우리나라의 느린학습자 지원 실태와 이들에게 필요한 정책이다. 때로는 경계 청소년들이 친구를 만나게 해 사회성 향상을 돕기도 하고 부모들의 정보 공유의 장이 되기도 한다.
이런 고군분투에도 모든 경계선 지능 아이들을 책임지는 데는 한계가 있다. 시민회의 구성원들은 시간적, 경제적 자원을 모두 아이들을 위해 쏟고 있다. 송연숙 이사는 “자녀에게 집 한 채 값이 들어갔다”며 “자녀가 두 명 이상이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경계선 지능 아이를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하던 부모들조차도 아이가 중고등학교에 진학하면 지쳐 포기해버리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가정에서 방치되면 소통능력이 퇴보하고 은둔형 외톨이가 되거나 비행 청소년들과 어울리게 된다. 정상 지능과 지적장애 양쪽에서 배제되는 상황에서 편견과 싸워야 하는 것도 큰 문제다. 송 이사는 “정상 지능 사이에서는 부족한 사람으로 낙인찍히고 지적장애 사이에서는 별문제 없이 불평하는 사람이 된다”고 말했다. 결국 장기적으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사람들의 관심이 필수적이다.
맞춤형 교육 통한 개선 기대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이 학업부터 자립까지 다양한 문제를 겪긴 하지만 지속적인 인지 훈련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은 희망적이다. 지역아동센터 경기남부지원단의 ‘나답게 크는 아이 계속 지원사업’에서 경계선 지능 초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11개월간 전문가들에 의한 교육을 진행한 결과 이들의 기초학습 능력이 평균 21% 향상됐다. 사회 부적응 지수 또한 12.5% 감소했다. 이창화 교수는 “경계선 지능 아이들은 높은 지적 능력이 필요하지 않은 직업을 갖고 독립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며 “가정을 꾸리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경계 청소년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가장 우선시되는 것은 교육이다. 특수교육은 경계 청소년들이 지닌 문제의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박현숙 경계선지능연구소 소장은 “수준에 맞지 않는 교육을 받는 것은 시간 낭비일 뿐”이라며 “특수교육의 환경에서 인지 기능이 퇴화해 지적장애로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교육을 통해 경계 청소년들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 내에서 학습목표나 난이도를 조정해 학업을 따라가도록 해야 한다.
경계 청소년들의 자립을 위한 진로지도 역시 중요하다. 박현숙 소장은 “경계 청소년들은 자신의 능력을 가늠하지 못한다”며 “장단점, 흥미, 지적 능력을 고려한 진로 상담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지적장애인들의 직업군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경계선 지능에 적합한 직군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전 세계 지적 능력 분포를 보면 경계선 지능은 전체인구의 13%가 넘는다. 이는 지적 장애인의 6배 이상이다. 이 인원이 자립하지 못하고 빈곤층이나 사회 취약계층이 되면 그 비용은 모두 사회의 부담이 된다.
이런 상황임에도 현재 우리나라의 경계선 지능 관련 문제는 당사자와 주변인들만의 영역으로 취급된다. 각 지방 교육청, 지역 복지관, 학교 등으로 분리된 현재 우리나라의 경계선 지능 지원체계를 통합하는 것은 우선 과제다. 장기적으로는 경계선 지능 지원을 의무화하는 법이 제정돼야 한다. 송연숙 이사는 “제도 수립의 근거로서 법적 조항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책임이 부여되면 자연스레 정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전했다.
일본 등이 경계선 지능 아동을 장애 범주에 포함하고 유럽에서 눈높이 직업 교육을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우리나라는 경계선 지능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 논의하느라 진행이 더뎌졌다. 박현숙 소장은 “개념 정의를 너무 오랫동안 논했다”며 “이제는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수치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려 최근 서울시 평생교육 조례에서는 경계선 지능을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평균 지능에 도달하지 못하는 인지 능력으로 소속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보호와 지원을 필요로 하는 자’로 정의한다.
글│유승하 기자
원문보기
경계선 지능인의 현황과 과제
학업과 자립에 어려움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수준 맞춤 교육과 상담 필요
지적장애와 정상 지능 사이에는 틈이 존재한다. 지능지수가 70이 되지 않으면 지적장애로, 지능지수가 80을 넘으면 정상 지능으로 분류되지만 그 사이 사람들은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다. 이들은 경계선 지능을 가진 ‘느린 학습자’이자 ‘경계인’이다.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은 낮은 지능으로 많은 문제에 직면하지만 장애인으로는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장애 관련 법안에서 보장하는 지원을 받기는 어렵다. 최진오(창원대 특수교육학과) 교수는 “복지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경계선 지능인들만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적응 어려워 주눅 드는 아이들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은 낮은 지적 능력으로 일상생활 곳곳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그중에서도 학업의 어려움이 크다.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어느 정도 학교 수업을 따라가지만 고학년부터는 일반 학생들을 따라잡기 쉽지 않다. 대인관계 역시 문제가 된다. 뛰어노는 시기를 지나 친구들과의 대화가 중요해지는 고학년이 되면 따돌림을 당하는 경우도 자주 생긴다. 상황과 대화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고 엉뚱한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느린학습자시민회 송연숙 이사는 “시민회에 오는 아이들 대부분이 학교에서 친구 사귀기를 어려워한다”고 말했다. 이런 또래 관계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정서적인 측면에 악영향을 준다. 최진오 교수는 “실제로 만난 경계 청소년들 대부분이 정서적으로 불안정했다”며 “그 결과로 우울증, 불안장애, 분노조절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경계 청소년들은 자존감이 저하되기 쉬운 상황을 자주 마주한다. 이창화(을지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겉으로는 별문제 없어 보이기 때문에 성적이 떨어지면 부모나 주변으로부터 노력이 부족했다는 등의 비난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경계선 지능 아이들은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친구 관계에서 문제가 생기면 가장 먼저 자신을 탓한다. 중학교 2학년 경계선 지능 자녀를 둔 송연숙 이사는 “남편조차 아이의 문제를 이해하지 못했다”며 “점점 주눅 들어가는 모습이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자립 위한 도움이 가장 필요해
현재 우리나라의 경계선 지능 관련 법안은 ‘느린학습자 지원법’이 유일하다. 하지만 이마저도 한계가 뚜렷하다. 가장 큰 문제는 경계인들만을 위한 법이 아니라는 점이다. 최진오 교수는 “법안 마련 이후에도 학교에서는 경계선 지능 아이들을 학습부진아로 구분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게 전부”라고 지적했다.
학습부진아로 구분되는 경우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도 발생한다. 송연숙 이사는 “특수교육을 신청하고 나니 아주 작은 문제만 있어도 도움반으로 가라는 권유를 받는다”며 “아이의 의사도 묻지 않고 반을 옮기는 일방적인 결정이 내려진다”고 말했다.
학교를 벗어나면 문제는 더욱 심화된다. 학습 성과를 내기 힘들고 적응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지는 경계 청년들은 취업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들다. 의무고용제도가 있는 장애인들과 달리 법적으로 보장받지 못해 스스로 자립에 성공해야 하는 상황이다. 자립해야 하는 성인기에 홀로 서지 못하면 부모의 그늘 아래 계속 머물거나 사회 취약계층이 된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자립 지원이다. 실제로 서울시가 느린학습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필요한 지원에 대해 조사한 결과 사회성 기술과 직업교육 및 취업 알선이 32.7%, 29.3%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현재 국가 차원의 경계선 지능 자립 지원제도는 보호대상 아동에 국한되어 있고 내용도 진로 탐색, 성교육 등 지나치게 기초적이다. 송연숙 이사는 “경계인만을 위한 방어막이 없다 보니 꼼수를 써서라도 장애인 등록을 해서 장애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고 전했다.
모든 부담은 결국 부모의 몫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의 부모, 대안학교 교사, 복지센터 종사자들은 한데 모여 ‘느린학습자시민회’를 결성했다. 성북구에 위치한 부모들의 커뮤니티에서 시작한 ‘느린학습자시민회’는 경계 청소년들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공론장도 개최한다. 주된 논의는 우리나라의 느린학습자 지원 실태와 이들에게 필요한 정책이다. 때로는 경계 청소년들이 친구를 만나게 해 사회성 향상을 돕기도 하고 부모들의 정보 공유의 장이 되기도 한다.
이런 고군분투에도 모든 경계선 지능 아이들을 책임지는 데는 한계가 있다. 시민회의 구성원들은 시간적, 경제적 자원을 모두 아이들을 위해 쏟고 있다. 송연숙 이사는 “자녀에게 집 한 채 값이 들어갔다”며 “자녀가 두 명 이상이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경계선 지능 아이를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하던 부모들조차도 아이가 중고등학교에 진학하면 지쳐 포기해버리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가정에서 방치되면 소통능력이 퇴보하고 은둔형 외톨이가 되거나 비행 청소년들과 어울리게 된다. 정상 지능과 지적장애 양쪽에서 배제되는 상황에서 편견과 싸워야 하는 것도 큰 문제다. 송 이사는 “정상 지능 사이에서는 부족한 사람으로 낙인찍히고 지적장애 사이에서는 별문제 없이 불평하는 사람이 된다”고 말했다. 결국 장기적으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사람들의 관심이 필수적이다.
맞춤형 교육 통한 개선 기대
경계선 지능 청소년들이 학업부터 자립까지 다양한 문제를 겪긴 하지만 지속적인 인지 훈련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은 희망적이다. 지역아동센터 경기남부지원단의 ‘나답게 크는 아이 계속 지원사업’에서 경계선 지능 초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11개월간 전문가들에 의한 교육을 진행한 결과 이들의 기초학습 능력이 평균 21% 향상됐다. 사회 부적응 지수 또한 12.5% 감소했다. 이창화 교수는 “경계선 지능 아이들은 높은 지적 능력이 필요하지 않은 직업을 갖고 독립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며 “가정을 꾸리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경계 청소년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가장 우선시되는 것은 교육이다. 특수교육은 경계 청소년들이 지닌 문제의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박현숙 경계선지능연구소 소장은 “수준에 맞지 않는 교육을 받는 것은 시간 낭비일 뿐”이라며 “특수교육의 환경에서 인지 기능이 퇴화해 지적장애로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교육을 통해 경계 청소년들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 내에서 학습목표나 난이도를 조정해 학업을 따라가도록 해야 한다.
경계 청소년들의 자립을 위한 진로지도 역시 중요하다. 박현숙 소장은 “경계 청소년들은 자신의 능력을 가늠하지 못한다”며 “장단점, 흥미, 지적 능력을 고려한 진로 상담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지적장애인들의 직업군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경계선 지능에 적합한 직군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전 세계 지적 능력 분포를 보면 경계선 지능은 전체인구의 13%가 넘는다. 이는 지적 장애인의 6배 이상이다. 이 인원이 자립하지 못하고 빈곤층이나 사회 취약계층이 되면 그 비용은 모두 사회의 부담이 된다.
이런 상황임에도 현재 우리나라의 경계선 지능 관련 문제는 당사자와 주변인들만의 영역으로 취급된다. 각 지방 교육청, 지역 복지관, 학교 등으로 분리된 현재 우리나라의 경계선 지능 지원체계를 통합하는 것은 우선 과제다. 장기적으로는 경계선 지능 지원을 의무화하는 법이 제정돼야 한다. 송연숙 이사는 “제도 수립의 근거로서 법적 조항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책임이 부여되면 자연스레 정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전했다.
일본 등이 경계선 지능 아동을 장애 범주에 포함하고 유럽에서 눈높이 직업 교육을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우리나라는 경계선 지능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 논의하느라 진행이 더뎌졌다. 박현숙 소장은 “개념 정의를 너무 오랫동안 논했다”며 “이제는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수치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려 최근 서울시 평생교육 조례에서는 경계선 지능을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평균 지능에 도달하지 못하는 인지 능력으로 소속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보호와 지원을 필요로 하는 자’로 정의한다.
글│유승하 기자
원문보기